7.2 RDS 운영환경에 맞는 파라미터 설정하기
RDS를 처음 생성하면 몇 가지 설정을 필수로 해야 한다. 우선 다음 3개의 설정을 차례로 진행한다.
- 타임존
- Character Set
- Max Connection
왼쪽 카테고리에서 [파라미터 그룹] 탭을 클릭해서 이동한다.
오른쪽 위의 [파라미터 그룹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세부 정보 위쪽에 DB 엔진을 선택하는 항목이 있다. 여기서 방금 생성한 MariaDB와 같은 버전을 맞춰야 한다.
해당 파라미터 그룹을 클릭한다.
다음으로 Character Set을 변경한다. 이는 항목이 많다. 아래 8개 항목 중 character 항목들은 모두 utf8mb4로, collation 항목들은 utf8mb4_general_ci로 변경한다. utf8과 utf8mb4의 차이는 이모지 저장 가능 여부이다.
- character_set_client
- character_set_connection
- character_set_database
- character_set_filesystem
- character_set_results
- character_set_server
- collation_connection
- collation_server
utf8은 이모지를 저장할 수 없지만, utf8mb4는 이모지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보편적으로 utf8mb4를 많이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Max Conntection을 수정한다. RDS의 Max Connection은 인스턴스 사양에 따라 자동으로 정해진다. 현재 프리티어 사양으로는 약 60개의 커넥션만 가능해서 좀 더 넉넉한 값으로 지정한다.
이후에 RDS 사양을 높이게 된다면 기본값으로 다시 돌려놓으면 된다. 설정이 다 되었으면 오른쪽 위의 [변경 사항 저장] 버튼을 클릭해 최종 저장한다.
이렇게 생성된 파라미터 그룹을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한다.
저장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수정 사항이 요약된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반영 시점을 [즉시 적용]으로 한다.
예약된 다음 유지 시간으로 하면 지금 하지 않고, 새벽 시간대에 진행하게 된다. 이 수정사항이 반영되는 동안 데이터베이스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예약 시간을 걸어두라는 의미지만, 지금은 서비스가 오픈되지 않았기 때문에 즉시 적용한다.
간혹 파라미터 그룹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을 때가 있다. 정상 적용을 위해 한 번 더 재부팅을 진행한다.
재부팅까지 성공했다면 이제 로컬 PC에서 RDS에 접속해보자
출처 :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이동욱 지음]
'Back-End > Springboot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08. EC2 서버에 프로젝트를 배포해 보자 (1) (0) | 2022.04.03 |
---|---|
Chapter 07. AWS에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만들어보자 - AWS RDS (3) (0) | 2022.04.03 |
Chapter 07. AWS에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만들어보자 - AWS RDS (1) (0) | 2022.04.02 |
Chapter 06. AWS 서버 환경을 만들어보자 - AWS EC2 (3) (0) | 2022.04.02 |
Chapter 06. AWS 서버 환경을 만들어보자 - AWS EC2 (2) (0) | 2022.04.01 |